맥스FC 경기룰
max fc 규정 및 룰 11월01일 maxfc15회 대회부터 개정본
- Manager
- 05-27
- 조회수2,540
max fc 규정 및 룰
규칙 1 : 링
MAX FC의 특허된 4각의 링에서 경기를 한다.
규칙 2 : 글러브와 밴디지
1. 글러브는 MAX FC의 조직위원회에서 공식 승인된 글러브만을 사용한다.
2. 너클파트 부분의 고무재질 사용은 엄격히 금지한다.
3. 반창고와 벨크로 밴디지를 허용하며 경기위원의 검사를 통과해야한다.
규칙 3 : 복장에 대한 규정사항
A. 규정 선수 복장 :
1. MAX - FC에서 제공한 글러브와 복장만 착용 가능하다.
2. 선수는 몽콘과 프락치앗 착용이 가능하다.
3. 컵 프로텍터: 남자 선수는 컵 프로텍터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경기 전 주심이 체크한다.
4. 여성 선수는 샅 보호대와 가슴보호대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5. 마우스피스 : 마우스피스를 하지 않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만약 이를 행했다면, 경고조치 되거나 실격될 수 있다.
만약 선수의 마우스피스가 빠졌다면 심판은 선수를 코너로
데려가 마우스피스를 씻고 다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일이 진행될 동안 누구도 선수에게 추가적인 말을 해서는 안 된다.
6. 경기 전 심판진에 사용승인을 받은 보호 장비
(보호대류 또는 신체부위의 테이핑포함)만을 착용하고 링에 오를 수 있다.
B. 금지사항 :
1. 경기 중에 허용되지 않은 다른 물품의 착용을 금한다.
오일, 바셀린, 파스 등 상대방선수에게 해를 끼치거나
불온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물품도
얼굴을 제외한 몸통, 팔, 다리, 기타 신체의 다른 부위에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위반 시 경고조치 또는 실격당할 수 있다.
2. 단, 오일은 경기 전 다른 물질과 섞이지 않은 단일 타이오일 사용은 허용한다.
3. 팔꿈치 수직 찍기 금지
4. 팔꿈치 공격이 허용되지 않는 경기에서는 백스핀 블로우는 금지된다.
5. 무릅 이하의 정면 다리에 발차기 공격(오블리킥)은 금지된다.
C. 복장 규정 위반 :
1. 낭심 보호대, 마우스피스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단정하지 않고 제대로
복장을 갖추지 않은 선수는 주의나 경고 조치 될 수 있다.
2. 세컨은 그에 맞게 복장을 갖춰야 한다.
반바지, 청바지, 슬리퍼 류의 신발, 선글라스, 조끼 또는
예의에 벗어나는 옷을 입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소속된 단체의 운동복을 권장한다.)
단, 스폰서 모자 착용은 가능하며 일반 모자 착용은 금지한다.
규칙 4 : 의료 검사, 체중검사 및 체중구분
A.의료 검사 :
1. 체중검사를 하기 전에 MAX - FC 상임위원회가 선수에게 별도로 지정한
의료검사를 받아 확인서를 제출 할 수 있다. (예 : 뇌전도 검사, 반 도핑 검사)
B. 계체시 :
선수는 오직 단 한번 공식 저울에 오를 수 있다.
* (공식 계체 1시간 전부터 10분 전까지 선 체크 가능)
어떠한 경우에도 선택한 체급을 초과하면 안 된다.
* 계체 미 통과의 경우
1. 0.1g ~ 199g까지 오버 시 전체 라운드에서 1점 감점.(개런티 30%삭감)
2. 200g ~ 299g까지 오버 시 전체 라운드에서 2점 감점.(개런티 50%삭감)
3. 300g ~ 499g미만 오버 시 전체 라운드에서 3점 감점.(개런티 70%삭감)
4. 500g이상 오버시 무조건패배 (개런티100% 삭감) 경기는 치루 어 집니다.
5. 타이틀전일 경우
0.1g의 체중초과도 인정되지 않으며 계체 실패자는 논타이틀전이 된다.
■ 챔피언이 한계체중 초과 시
챔피언의 개런티는 몰수되며
챔피언이 승리한다 해도 승리는 인정되나 방어전은 인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도전자가 승리할 경우 도전자는 챔피언이 된다.
■ 도전자가 한계체중 초과 시
도전자의 개런티는 몰수되며
이때 챔피언이 승리하면 방어전이 인정된다.
반면 도전자가 승리하더라도 승리는 인정되나 챔피언이 될 수 없다.
■ 두 선수중 한명이라도
500g 이상 초과했을 경우 경기는 진행하되 점수에 상관없이
초과한 쪽이 실격패로 기록된다.
■ 챔피언이 500g을 초과하고 도전자가 계체를 통과할 시 경기와 상관없이 도전자가 챔피언이 된다.
챔피언 결정전과 방어전은 참가 선수가 계체에 실패하더라도 경기는 진행된다.
※ 챔피언 전에 출전한 선수가 계체 실패한 후 경기를 거부하면 대회에
미치는 손해에 대한 법적인 책임 의무를 진다.
※ 이외의 계체량 실패 시 초과 중량에 따른 감점은
기존 규정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 챔피언이 2개 대회 연속 계체에 실패하면 즉시 타이틀이 박탈된다
그 외의 경우 심판부의 판정, 명령에 의한다.
※ 페널티 적용을 하여도 계체를 통과한 한 명의 선수가 경기를 거부할 경우
계체 실패자가 실격패가 되며 경고조치와 게런티를 모두 몰수한다(티켓 포함).
공식 체급 Official weight divisions
순 번 | 체 급 별 | 프로 리그 | 아마추어리그 | 유소년리그 | ||
남 | 여 | 중등부 | 초등부 | |||
1 |
|
|
| 47.620Kg (105파운드) 이하 | -35kg | -20kg |
2 |
|
|
| 48.980Kg (108파운드) 이하 | -38kg | -22kg |
3 | 플 라 이 급 | -50kg | -48kg | 50.800Kg (112파운드) 이하 | -41kg | -24kg |
4 |
|
|
| 52.160Kg (115파운드) 이하 | -44kg | -26kg |
5 | 밴 텀 급 | -55kg | -52kg | 53.520Kg (118파운드) 이하 | -47kg | -28kg |
6 |
|
|
| 55.340Kg (122파운드) 이하 | -50kg | -30kg |
7 | 페 더 급 | -60kg | -56kg | 57.150Kg (126파운드) 이하 | -53kg | -32kg |
8 |
|
|
| 58.970Kg (130파운드) 이하 | -56kg | -34kg |
9 | 라 이 트 급 | -65kg |
| 61.230Kg (135파운드) 이하 | -59kg | -36kg |
10 |
|
|
| 63.500Kg (140파운드) 이하 | -62kg | -38kg |
11 | 웰 터 급 | -70kg |
| 66.680Kg (147파운드) 이하 | -65kg | -40kg |
12 |
|
|
| 69.850Kg (154파운드) 이하 | -68kg | -42kg |
13 | 미 들 급 | -75kg |
| 72.570Kg (160파운드) 이하 | -71kg | -44kg |
14 | 슈 퍼 미들급 | -85kg |
| 76.200Kg (168파운드) 이하 | -74kg | -46kg |
15 | 라이트헤비급 | -95kg |
| 79.380Kg (175파운드) 이하 | -77kg | -50kg |
16 |
|
|
| 90.720Kg (200파운드) 이하 | -82kg | -55kg |
17 | 헤 비 급 | +95kg |
| 92.720Kg (200파운드) 이하 | -90kg | -60kg |
MAXfc Organizers
규칙 5 : 세컨
A. 규칙
각 선수는 아래의 규칙을 준수하는 2명의 세컨을 가질 권리가 있다.
1. 경기 중 어떤 세컨도 링 위에 계속 있어서는 안 된다.
라운드가 시작되기 전에 링위에서 의자, 수건, 물통 등을 치워야 한다.
2. 반드시 2명의 세컨이 링 바깥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1명만이 링 안에 들어올 수 있다.
3. 세컨이 주의나 경고를 받을 시 소속 선수에게 감점이 주어질 수 있으니
스포츠 맨쉽에 어긋나는 거친 언동으로 인해 주의, 경고, 퇴장 조치될 수 있다.
4. 코너에서 수행하는 동안
세컨은 선수를 위한 수건을 준비해 놓고 있어야 한다.
자기편 선수가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경우라고 고려되는 상황에서는
수건을 링 안쪽으로 던질 수 있다
단, 주심이 카운트 중일 때는 제외한다.
5. 매 경기 때마다 주심/부심, 위원회 회장은 주심/부심과 각 경기에서
일할 세컨들과의 합동 회의를 주관하여 MAX FC 의 규칙을 준수할 것을 강조하고
만약선수들이 이런 규칙들을 위반한다면 점수를 잃을 뿐만 아니라
챔피언십 자체를 잃을 수도 있음을 강조하여 알린다.
B. 복장
1. 세컨은 그에 맞게 복장을 갖춰야 한다.
반바지, 청바지, 모자(캡), 슬리퍼류의 신발, 선글라스, 조끼
또는 예의에 벗어나는 옷을 입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소속된 단체의 운동복을 권장한다.
( 단 , 스폰서 모자착용은 가능하며 일반 모자착용은 금지한다 )
규칙 6 : 라운드
* 주니어(중등부포함) 2분 3라운드 1분 휴식
* 여성부 2분 3라운드 1분 휴식
* 여성부 챔피언전 2분 5라운드 1분 휴식
* 일반부 3분 3라운드 1분 휴식
* 일반부 챔피언 전 3분 5라운드 1분 휴식
규칙 7 : 주심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 : 주심이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선수를 보호하는 것이다.
가. 의무 : 주심은 링 위에서 경기를 공정하게 진행해야 한다.
심판은 남색 바지, maxfc 공인 심판복을 입고
가볍고 굽이 없는 평평한 신발이나 부츠를 신는다.
심판은 경기를 판정하는 동안 의료용 장갑을 착용할 수 있다.
주심의 의무는 아래와 같다.
* 규칙이 잘 준수되고 공정하게 경기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엄격히 지켜보아야 한다.
* 매 경기를 잘 통제하여야 한다.
* 열세인 선수가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타격을 당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 선수의 글러브와 복장을 체크하여야 한다.
* 4가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스 탑” (“Stop”) 선수들의 경기 종료를 명할 때
- 파 이 트” (“Fight”) 경기를 지속할 것을 명할 때
- 브레이크” (“Break”) 선수간 맞붙어 싸울 경우, 이 명령에 따라 각 선수는 뒤로 잠시 물러났다가 경기를 지속한다.
- 타 임” (“Time") 계시원과 공 관리자에게 시간을 멈추라고 명령할 때
* 심판은 선수가 규정을 위반했을 경우
적절한 제스처 로 선수에게 사인을 보내어 표시해야 한다.
* 경기 종료 후 해당하는 5명의 부심들로부터 심사용지를 회수하고 체크한다.
체크 후 해당 심사용지를 본부장에게 전달 후 결과를 발표한다
* 주심은 본부석에서 승자를 발표하기 전에는 선수의 손을 든다든가 하는 등의
행동을 함으로써 승자를 표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경기의 승자가 발표된 이후에 승자의 손을 들어주어야 한다.
* 주심이 어떤 선수를 실격시키거나 경기를 중단시킨 경우에는,
우선 어떤 선수가 실격되었는지, 또는 왜 경기를 중단시켰는지에 대해서
배심원단의 대표에게 먼저 알려야 한다.
이로써 배심원단 대표는 아나운서로 하여금 결정된 사항을
정확히 관중들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나. 주심의 권한 : 주심은 아래와 같은 권한을 갖는다:
* 일방적으로 치우친 경기가 진행될 경우에는 언제든 경기를 종료 시킬 수 있다.
* 한 선수가 경기를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상처를 당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링 닥터의 체크와 동의를 받아 언제든 경기를 종료 시킬 수 있다.
* 파울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당한 경기를 위한 어떤 이유로 인하여,
또는 규칙을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경우에는
선수에게 경고를 하거나 시합을 잠시 중단시킬 수 있다.
* 심판의 명령을 즉시 이행하지 않거나 심판에게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행위를 할 경우에는 언제든 주의나 경고를 줄 수 있다.
* 선수 및 세컨도 주심의 반복되는 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심판은 선수를 실격 시키거나 세컨을 퇴장 시킬 수 있다.
* 심각한 파울에 대해서는 해당 선수에 대해 경고 또는 경고 없이 실격시킬 수 있다.
* 넉 다운 되었을 경우, 만약 선수가 고의적으로 중립코너로 물러나지 않거나
지연한다면 카운트 하는 것을 일시 중단할 수 있다.
* 규칙에 딱 적합하게 해당되는 경우가 아닐 경우에는 실제 경기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상황에 맞게 판단하여 적용한다.
다. 경고 :
선수가 규칙을 이행하지 않았지만 실격을 당할 정도는 아닐 경우
주심은 경기를 중단하고 공격자에게 경고를 주어야 한다.
경고에 앞서 주심은 선수에게 해당 행위를 중단할 것을 명해야 한다.
경고는 뜻이 확실하게 주어져야 하며
이로써 선수는 경고의 이유와 동기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주심은 각각의 판정에 대하여 정확한 손동작을 함으로써
해당 선수에게 정확히 뜻이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경고를 준 이후에 주심은 선수들에게 “파이트” (경기지속)을 명해야 한다.
선수가 한 경기에서 3번 경고 조치되면 실격한다.
라. 주의 : 주심은 선수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이는 주심이 선수로 하여금 심각한 규칙의 위반까지는 아닐지라도
합당하지 않은 행위를 체크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충고나 행위의 성격을 띤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심은 경기를 중단시키지 않고도 선수에게
규칙 위반에 대한 적절한 주의를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규칙 8 : 부심
복장 : 부심은 주심과 동일한 복장을 착용한다. 필요시에는 안경 착용이 가능하다.
각 부심은 양 선수의 경기 중 장점을 독립적으로 판정하고 규칙에 의거하여 승자를 결정한다.
부심은 오해가 되지 않도록 경기 중에 주심을 제외한 선수나 다른 부심들 또는 그 누구와도 얘기해서는 안 된다.
전화통화도 금지된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세컨의 위법행위, 로프가 풀리려는 것 등
주심이 보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경기가 끝날 무렵에 주심에게 얘기할 수 있다.
각 선수의 승점은 매 경기가 끝난 후 부심들의 점수 기록표에 매겨진다.
경기 후에 부심은 점수를 합산하고 승자를 추천하고 점수 기록표에 서명하며 부심의 판정은 대중에 발표된다.
부심은 부심의 점수기록이 대중에 발표되기 전에는 자리를 뜰 수 없다.
규칙 9 : 계시원(Timekeeper)과 아나운서
A. 계시원의 의무:
1. 계시원의 주요 업무는 시간을 엄수하고 각 라운드의 시간을 지키고
각 라운드 간 간격을 지키는 것이다. 각 라운드 시간 간격은 꽉 채운 1분이다.
2. 계시원은 공이나 벨을 울림으로써 매 라운드의 시작과 끝을 알린다.
3. 매 라운드 시작에 앞서 링을 정리할 10초의 시간을 표시하거나 신호로 알린다.
4. 주심의 타임선언이 내려 졌을 경우의 시간은 제한다.
5. 계시원은 매시간 매초를 시계로 확실히 관리하여야 한다.
6. “넉 다운”시, 주심이 카운트 할 동안 계시원도 각 초를 손동작으로 주심에게 세어준다.
7. 경기가 끝날 무렵에, 선수가 “다운”되어 주심이 카운트 하는 동안이라면,
1, 2 라운드에서는 시간이 종료되어도 공을 울리지 않고
주심이 “파이트”을 명령하여 시합 개시를 알렸다면 공을 울리도록 한다.
단 , 마지막 3라운드 일 경우 다운이 되어도 시간이
경과되면 카운트 중일지라도 공을 울려 종료를 알린다
B. 아나운서의 의무:
1. 선수가 등장 했을 시 각 선수의 이름, 소속 단체, 소속 국가, 중량, 코너 명을 대중에게 알려준다.
2. 각 라운드 시작 10초 전에 “링 정리” 또는 “세컨드 아웃”을 명함으로써 링을 정리하도록 한다.
3. 각 라운드의 시작과 끝을 발표한다.
4. 경기 결과 및 승자의 이름을 발표한다.
C. 착석 : 링 바로 앞쪽에 착석한다.
규칙 10 : 판정
1. 2라운드 1분경과 전 고의가 아닌 부상 발생 시 무효경기.
이 경우 선수 개런티는 50%만 지급하고 다음 경기에 재경기할 수 있다.
(고의적인 반칙은 심판부의 판정에 의한다.)
2. 2라운드 1분경과 후 모든 부상 발생 시 반칙을 범한 선수에게 감점을 주고
3분의 휴식 후에도 경기에 임하지 못할 경우 부상자는 T.K.O 패가 된다.
(고의적인 반칙은 심판부의 판정에 의한다.)
3. 낭심 가격시 2회까지는 주의, 3회시 경고 감점.
3회 경고 시 반칙패
4. 무릎 공격 시 2회까지는 주의 3회시 경고 감점.
3회 경고 시 반칙패
5. 부심의 3:2 판정이 나와도 승패가 갈리며 연장전은 없다.
6. 팔꿈치 수직 찍기 금지
1회 공격 시 주의 없이 감점 1점 할 수도 있다. (주심의 권한)
심판부의 판단에 따라 실격패가 될 수도 있다.
7. 1라운드, 2라운드 우세 3라운드 다운인 경우도 우세승으로 판정을 가른다.
▣ 채점의 기준
1. 정확한 타격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 경우
2. 공격적으로 경기를 펼치는 경우
3. 우세한 경기를 한 경우
가. 판정승 - Win on Points, WP
1. 경기가 끝난 후, 부심이 채점한 총점으로 승자를 결정하며
승자는 만장일치 혹은 엇갈린 판정에 의해 결정된다.
2. 부심은 경기가 끝나는 시점까지 라운드마다 각 선수를 채점한다.
라운드 전체 합산에 따라 점수가 앞선 선수를 경기의 승자로 선언한다.
나. 무승부 - Draw
1. MAX FC에서는 무승부가 없다.
다. TKO - Win by Technical Knockout
1. 선수가 자발적으로 기권하거나,
세컨이 링 안으로 타월을 던지거나, 주심이 카운트를 하고 있지 않을 때
세컨이 링 위로 올라올 경우, 상대방은 T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2. 라운드 사이 휴식시간이 끝난 직후에 선수가 경기를 재개하지 못하면,
상대방은 TKO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3. 주심의 판단에, 선수의 기량 차이가 크거나,
선수가 과도하게 일방적으로 강한 가격을 당한다면, 경기는 중단되고
상대방은 TKO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4. 선수가 넉 다운을 당한 후에 경기를 재개할 수 없게 되면,
상대방은 T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5. 로우 블로우 당한 뒤 3분의 휴식시간 후에 선수가 회복하지 못하면,
상대방은 T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6. 링사이드 의사의 조언에 따라 주심의 재량으로 주심이 경기를 중단했을 때, 상대방은 T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7. 2라운드 1분경과 후 부상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3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지며
3분 후 경기를 지속 하지 못할 때에는 부상자는 TKO패가 된다
(고의성인 경우 반칙패) 고의성의 여부는 심판위원회 판정에 의한다
라. TKO-I - Win by Technical Knockout Injury
1. 주심의 판단에, 선수가 정확한 타격으로 부상을 당해 경기를 계속할 수 없다면, 경기는 중단되고,
상대방은 TKO-I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2. 링사이드 의사의 조언을 참조한다.
마. 실격 - Win by Disqualification, Disq
1. 선수가 파울 혹은 다른 이유로 실격을 당하면, 상대방은 실격 판정에 의해 경기의 승자가 된다.
2 주심의 판단에, 선수가 고의적인 파울로 인해 부상을 당했고,
부상을 당한 선수가 그 부상으로 인해 더 이상 경기를 계속할 수 없다면,
파울을 범한 선수는 실격을 당하고
부상을 당한 선수는 실격 판정에 의해 경기의 승자가 된다.
3. 한 경기 전체 라운드에서 선수가 3번 같은 경고를 받으면
자동적으로 실격당하고, 상대방은 실격 판정에 의해 경기의 승자가 된다.
4. 실격을 당한 선수는 해당 경기와 관련된 포인트를 얻지 못한다.
선수가 위법행위 혹은 비신사적인 행동으로 인해 실격을 당했다면,
심판위원장은 해당 경기가 끝난 후 24시간 안에 MAX FC 조직위원회에 회부해야 한다.
5. 이외 스포츠 맨쉽에 어긋나는 행위가 있을시 심판부 판정에 의해 실격 처리될 수 있다.
바. KO - Win by Knockout
1. 선수가 다운을 당하고 “텐(10)”까지 카운트를 할 동안 경기를 재개하지 못하면, 상대방은 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2. “텐(10)”까지 카운트를 하기 전에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주심은 링사이드 의사를 링 안으로 소환했다면,
상대방은 KO 승으로 경기의 승자가 된다.
3. 더블 KO가 발생한 경우, 텐(10)”까지 카운트 후 양 선수는 모두 DKO 판정으로 패배한다.
사. NC – 노 콘테스트 (No Contest)
1. 선수 또는 주심이 통제할 수 없는 링의 붕괴, 조명공급 중지, 천재지변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면, 레퍼리는 경기를 중단하고 노콘테스트 (NC) 판정이 내려진다.
2. 양 선수가 자신의 공식 체급 제한을 500g 초과하거나 미달하면, 해당 경기는 NC로 선언된다.
대회 규정 위반을 이유로 MAX FC 징계규정에 의해 MAX – FC 징계위원회로부터 선수와 소속 모두 징계를 받는다.
3. 2 라운드 시작 1분경 과 전 부상 시 노콘테스트 (NC) 판정이 내려진다.
( 반칙에 의한 경우는 반칙을 범한 선수가 반칙패가 된다)
규칙 11 : 넉 다운
- : 선수는 아래와 같은 경우 “다운” 된 것으로 본다.
타격을 한 번 또는 연속적으로 당함으로써 무릅 이상의 신체 부위가 링 바닥에 닿은 경우,
타격을 한 번 또는 연속적으로 당함으로써 어찌해 볼 수도 없이 로프에 매달려 있는 경우,
타격을 한 번 또는 연속적으로 당함으로써 로프 밖 또는 일부분이 로프 밖으로 나온 경우,
심한 타격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로프에 기대어 있지는 않더라도 반 의식 불명 상태이고
주심이 판단하기에 더 이상 경기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
- : 주심은 카운트 시 각 초에 해당하는 숫자 간에 어느 정도 간격을 두어야 하며,
각 초를 손으로도 표시함으로써 넉 다운 되어 있는 선수가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원”을 세기에 앞서 선수가 넉 다운 되고 나서 일초가 경과한 후에야 “원”을 세기 시작한다.
주심이 명령했음에도 상대 선수가 중립코너로 가지 않을 경우에는
주심은 상대선수가 갈 때까지 시간 세는 것을 멈춘다.
그리고 나서 세는 것을 멈추었던 초부터 다시 센다.
주심이 두 선수 중 누구에 대해서라도 카운트를 하기 시작했다면
부심은 점수표에 “KD”라고 기록한다.
선수가 머리 쪽에 가격을 당하여 “다운”되었다면
부심은 점수표에 “KD+H” 라고 기록한다.
상대선수의 책임 : 한 선수가 다운 되었다면 상대 선수는 즉시 주심에 의해 지정된 중립코너로 이동해야 한다.
상대선수는 넉 다운된 선수가 일어나고 “파이트”가 명해진 후에야 경기를 지속할 수 있다.
의무적인 8초세기: 선수가 타격을 당하여 “다운”되었을 경우, 주심이 “에이트“ (8)까지 세기 전에는 설령 다운된 선수가
다시 경기를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을지라도 시합을 재개할 수 없다.
E. 넉 아웃: 주심이 “텐”(10) 을 센 이후에는 경기는 끝난 것이며 “넉 아웃”으로 간주된다.
F. 라운드 종료 시 “다운” 된 경우 : 1,2라운드 에서는 주심은 카운트를 계속한다.
단 3라운드 에서는 종료와 함께 카운트도 중지되고 다운만 인정 된다
주심이 “텐”(10)까지 카운트 했다면 해당 선수는 “넉 아웃”으로 인해 경기에서 진
것으로 간주되고 만약 선수가 “텐”(10)을 다 세기 전에 다시 시합할 상태가 되었다면
의무 카운트 “에이트“(8)까지 세고 “파이트”를 명령한다.
G. 가벼운 일격 없이 선수가 두 번째 다운 되었을 경우 :
한 선수가 가격으로 인해 “다운”되었고 “에이트“(8)까지 세고 나서
다시 경기가 재개된 이후에 가벼운 일격도없이 다시 쓰러졌다면
주심은 세는 것을 멈추었던“에이트“(8) 부터 다시 세어야만 한다.
규칙 12 : 항의
MAX FC는 어떠한 항의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심판위원회의 결정이 최종 결정이 된다.
규칙 13 : 파울
파울의 종류 : 선수가 아래의 파울을 고의적으로 행한 경우:
, 머리로 받기, 상대 선수에게 침 뱉기, 상대의 눈을 엄지손가락으로 찌르기
의도적으로 입안의 마우스피스 뱉기
유도나 레슬링 기술로 상대 선수를 메치거나 등을 구부리기
상대선수가 바닥에 누워 있을 때 위에 엎어지기
상대선수가 다운되거나 다운된 후 일어나려고 할 때 공격하기
로프를 잡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로프를 이용하면서 공격하기
공격적인 언사 사용 :
무릎 공격 2회 시 두 번의 주의, 3번이면 경고, 감점 1점
주심이 “브레이크”을 명했을 때 뒤로 물러나지 않고 즉시 상대방을 가격한 경우
주심에 대해 모욕적이거나 호전적인 행위를 한 경우.
상대방의 다리를 잡고 공격 없이 1 걸음 이상 움직이는 경우
상대방의 타격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쓰러지는 경우
두 선수 모두가 링 밖으로 떨어졌을 때, 한 선수가 링 안으로 들어오려는 것을 다른 한 선수가 의도적으로 방해할 경우
세계 반 도핑기구 WADA와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ADA 코드 품목에 정해진 금지 물품 종류를 사용한 경우
양 선수는 각각의 세컨의 행위에 대해 책임이 있다.
규칙 14 : 악수
- : 경기 전후에, 선수는 경기 규칙에 따라 순수한 스포츠 정신에 입각하여 정당히 겨룰 것을 의미하는 뜻으로
- 적합한 예의를 갖추고 악수한다.
적절한 시간: 악수는 첫 번째 라운드 시작 전과 결과 발표 후 행해진다.
규칙 15 : 나이제한
주니어 : 남/여 만 7세 - 만 15세까지
일반부 : 남/여 만 16세 - 만 40세까지
규칙 16: 약물 등에 관한 관리
금지 약물 복용 : 선수들은 일반적인 식품이 아닌 약물이나 화학첨가제등을 복용하는 것은 금지된다.
세계 반 도핑기구 WADA와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ADA의 도핑 코드 품목에 정해진 금지 물품에 대한 규정을 따른다.
벌 칙 : 금지 약물을 복용한 선수는 MAX FC 에 의해 실격이나 정지 처분을 당하고 그에 따른 위약금을 배상해야한다.
국 소 마취제 : 국소마취제는 의사협의회의 의료진의 재량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 지 약 물 : 금지 약물은 MAX FC 에서 금지하는 것과 IOC 에서 금지하는 것이 일관성을 갖는다.
부 칙
1. 본 규약은 2018년 11월 01일 MAX – FC 15회 대회부터 개정 시행한다.
2. 기타 기록되지 않은 규약과 규정주은 상호간 이견이 있는 부분의 판정은 심판부의 판단에 따른다.